분류 전체보기

Language/Kotlin

Coroutines Cooperative Cancellation

이번 글에서는 코루틴을 취소할 때 어떤 취소 방법을 취해야하는지에 대해 설명해본다. 코루틴 안에서 반복문을 실행하는 도중 취소하는 상황을 예시로 보자. 코드 예제fun main() = runBlocking { val job = launch(Dispatcher.Default) { repeat(10) { index -> println("repeat $index") Thread.sleep(100) } } delay(250) println("Cancel coroutine") job.cancel()}위 예제를 실행한 결과를 먼저 예상해보자. 만약 이 코드가 정상적으로 repeat 0~2까지만 실행됐을거라고 생각했다면 오산이다. 취소..

Android

Android Tester 환경 구축하기(from direct APK to Firebase App Distribution)

이번 글에서는 테스터 환경을 어떻게 변화시켜왔는지 공유해보려 한다. 이 과정은 체감상 내 답답함 80%, 개척 20% 정도의 시간 소요가 있던 작업이다. 윗 문장을 이해하기 힘들 수 있다. 내 시간 흐름이 어땠는지 적어보겠다. APK 직접 배포하기회사에 처음 들어와서 어떤 업데이트 사항이 생기면 완성된 결과물을 QA팀에 전달해야 했다. 이 때, APK를 직접 빌드해서 메일로 전달했다. 초반에는 귀찮지 않았다. 그 이유로는드디어 내가 회사에서 일을 하는구나메일 용량 제한에 제약이 없다.그렇게 나는 점점 배포해야할 앱이 많아지고,결국 그룹웨어가 변경되고 나서는 메일함에 용량이라는 제약이 생기기 시작했다. 내가 QA팀에 APK를 전달할 때마다 메일함이 차오르기 시작했다.(+ 타 부서에서 설치파일을 원하는 경우..

Android

Android Add Resource Value With Build Type And Flavor

이번 글에서는 build type과 flavor에 따라 resValue를 추가하는 작업을 해볼 것이다. 이게 왜 필요했을까언제나 그렇듯 평범한 버그 수정, 신규 기능 추가를 반복하던 중다른 서버 주소 줄테니 이것도 따로 빌드해줘이런 요청을 받은 것이다. 물론 이런 요청이 단발적이라면 모를까내가 듣기로는 이후로 몇 번은 더 받을 요청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아예 flavor를 하나 추가해 debug, release 빌드 타입을 포함한 총 4개의 빌드를 구성했다. 방법 설명여기서 방법이 갈린다. 최신 프로젝트 생성 시엔 build.gradle.kts가 기본으로 설정되기에Groovy, Kotlin 모두 적용법을 찾아보았다. Groovy에서 적용하기android { ... buildTypes { ..

Android

Android EditText Text Repeating(글자 복제되는 현상)

오늘은 EditText에서 문자 입력 시 글자가 계속 복제되었던 문제를 소개한다. 발생 배경ID 입력을 모두 소문자로 강제해달라는 요구가 있었다. 이전에 모두 대문자로 강제해본 기억이 있었고, 그 때 사용했던 방법은 EditText.setFilters 였다.editText.filters = arrayOf(InputFilter.AllCaps())이런 식으로 말이다. 그래서 InputFilter를 잘 조절하면 소문자 강제도 어렵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탄생한 코드는 아래와 같다.editText.filters = arrayOf(InputFilter { inputText, i, i2, spanned, i3, i4 -> inputText.toString().lowercase()}되게 합리적인 코드라고 ..

Language/Kotlin

LifecycleScope 간단히 알아보기

이번 글에서는 LifecycleScope를 소개해본다. 다만 제목 그대로 간단히 알아보려 하는데 이전 글에서 알아본 ViewModelScope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LifecycleScope의 lifecycle 알아보기생명주기는 생각보다 심플하다.  Lifecycle owner가 살아있는 동안 해당 스코프도 살아있게 된다. 상황에 따라 Activity, Fragment 등이 될 수 있다. 해당 owner가 destroy될 때 LifecycleScope에서 실행된 모든 코루틴은 cancel된다. 가장 대표적인 destroy 상황은 화면 회전에 의한 Activity destroy이다. 이렇게 되면 특정 작업을 수행하다가도 cancel되어버리는 상황이 발생하기에이런 경우, ViewModelScope를 사용하는..

Language/Kotlin

ViewModelScope 알아보기

이번에는 드디어 이전 예제들에서 사용해왔던 viewModelScope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ViewModelScope LifecycleviewModelScope는 ViewModel의 lifecycle과 연관되어 있다. 다르게 말하면 viewModelScope에서 시작된 코루틴은 ViewModel이 살아있는 경우 계속 실행된다. 당연히 ViewModel onCleared 메소드가 호출되는 시점에viewModelScope에서 시작된 코루틴은 모두 cancel된다. ViewModelScope 구현 살펴보기이 스코프는 ViewModel이 clear될 때 자동으로 cancel된다는위의 lifecycle 설명에서 말했던 부분이 보인다. Dispatcher 확인하기MainCoroutineDispatcher.imm..

Language/Kotlin

GlobalScope 알아보기

GlobalScope에 대해 설명하기 전 가장 저명한 사실을 하나 얘기하고 시작한다. 우리는 앱에서 GlobalScope를 사용할 일이 거의 없을 것이다. 공식문서에서도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하는 뉘앙스를 풍긴다. 사용하지 않을 이유 찾기 제한된 수명 주기가 없다.이 뜻을 앱 관점에서 보면 GlobalScope 안에서 시작된 코루틴은앱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까지 종료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어떠한 Job에도 엮이지 않는다.제목 그대로를 코드로 확인해보자.println("GlobalScope Job: ${GlobalScope.coroutineContext[Job]}")이 코드를 실행시켜보자.GlobalScope Job: null위와 같은 결과가 나온다. 위 결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 또 하나가 생겼..

Android

Store Signed APK 실행 시 Play Store로 이동

이번 글은 누군가에게 전혀 겪어보지 못한 상황일 것이다. 반면에, 나에게는 매우 당황스러운 상황이었다. 문제 상황스토어 비공개 테스트 트랙에 앱 번들(aab)를 업로드했다. APK 파일을 따로 달라는 요청이 있었다. 따라서, 서명된 범용 APK를 다운로드해 전달했다. 그런데 실행하자마자 Play Store로 이동하면서 Google Play에서 다운로드하라는 메시지가 보였다. 대체 뭐가 문제일까?도저히 머리로는 이해가지 않는 동작이었다. 따라서, 구글 정책 변경 사항이겠거니.. 하며 Play Console 고객센터로 문의해보았다.  짧게 요약하면 APK 실행 관련해서는 안내가 불가능하고 Google Play에서 설치 버튼을 눌러 내용이었다. 보다시피 내가 원하던 답변은 아니었다. 이 찝찝함을 안고 다른 설..

Language/Kotlin

Structured Concurrency in Coroutines

이번 글에서는 구조적 동시성(Structured Concurrency)의 특징을 정리해본다. 1. 모든 코루틴은 제한된 수명이 있는 위치에서 시작되어야 한다.가장 대표적인 예로 Activity가 될 수 있다. RxJava에서는 특정 시점에서 disposable을 모아 처리해야 하는데컴파일러는 개발자가 처리하는 코드를 작성하지 않아도 경고하지 않는다. 이렇게 clear 혹은 cancel의 과정이 없다면OOM(Out Of Memory) 에러 혹은 앱 크래시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코루틴을 사용할 때 예시로 사용했던 코드를 보면 viewModelScope가 있다. 이 스코프는 ViewModel 수명에 엮여있다. 따라서 ViewModel이 수명에 따라 clear될 때,viewModelScope에서 실..

Android

Android Share Image File In 2way

이번 주제는 제목 그대로 이미지 파일을 2가지 방법으로 소개하는 것이다. 근데 굳이 2가지 방법을..?나도 굳이 같은 기능을 2가지 방법을 생각하면서 개발하고 싶지는 않았다. 처음 프로젝트에서 사용한 방법은 ShareCompat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최대한 Jetpack 라이브러리를 활용하고 싶었고 그 욕심이 철저히 반영된 코드였다. 물론 기능도 무사히 동작했다. 하지만 또다른 프로젝트는 android support 버전을 사용 중이다.(Jetpack이 없다는 말이다.) 따라서 Jetpack ShareCompat을 사용할 수 없었고, 그에 따라 기본 Intent를 사용해 처리해야만 했다. support library에도 ShareCompat은 있지만 해당 클래스의 동작이 동일하다는 보장을 하기 어렵다.(..

BonusTrack02.dev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