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공부, 일상
Language/Kotlin

Android에서 Kotlin을 사용할 때 이점(JetBrains피셜)

먼저 최근에 프로그래머스 거의 문제 풀이글만 올리다 Kotlin에 대해 소개를 할까 생각이 들었다. 프로그래머스 문제를 해결하면서 필요한 메소드나 확장 함수 등을 사용하려고 할 때 나는 주로 코틀린 공식 홈페이지에서 Docs를 찾는 편인데 기본기가 모자라 가끔 알아볼 수 없는 것들이 몇 개 있기 때문이다. 위 제목은 내가 몇몇 회사를 지원하면서 직접 받은 질문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일단, 나는 안드로이드 직군을 희망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안드로이드에서 코틀린을 사용할 때의 장점을 적어보려 한다. 시작해보겠다. 1. 가독성이 좋은 적은 코드 사용 이건... 딱히 설명이 구체적이지 않아 스킵... 2. 성숙한 언어와 환경(직역) 2011년에 만들어진 후, 코틀린은 언어뿐만 아니라 전체 생태계까지 지속적으로 개..

프로그래머스

나누어 떨어지는 숫자 배열 코틀린(Kotlin)

오늘 푼 문제는 코틀린의 collections를 잘 사용해야하는 문제였던 것 같다. 문제 처음 문제를 보니 제출 코드에 이미 리턴될 IntArray형 변수가 생성되어 있길래 이 틀을 깨지 않는 선에서 리턴될 배열 길이를 정하려다 보니 당최 길이를 정해야하는 배열의 특성때문에 방법이 떠오르지 않았다. 최근에 Array나 MutableList를 여러번 사용해봐서 그런지 이전에 코틀린 공식 페이지에서 자료를 찾아봤고 몇몇 메소드가 머리 속 저편에 숨어있었는데 기억이 났다. 그래서 떠올린 방법은 arr에서 divisor로 나머지 연산 결과가 0인 녀석들을 MutableList에 추가하고 추가된 MutableList를 IntArray로 변환해 리턴하는 것이었다. 여기서, 고려할 점이 하나 더 있었는데 만약 나누어..

프로그래머스

나머지가 1이 되는 수 찾기 코틀린(Kotlin)

오늘은 Level 1만 풀던 내가 처음 보는 문제인 것 같아 한 번 시도해보게되었다. 문제 이 문제는 단순히 생각하면 풀기 쉬웠다. 먼저, 반복문을 사용해 1부터 주어진 n까지 나머지 연산자를 통해 나머지가 1이 되는 첫 수를 리턴될 answer 변수에 대입하고 반복문을 종료하면 된다. 풀이 이렇게 풀게 되면 나머지가 1의 되는 수 중에 가장 작은 수를 찾을 수 있다. 물론 코드는 조금 깔끔하지 않을 수 있지만 말이다.

BonusTrack02.dev
BonusTrack02.de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