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에서 사용하는 확장자로는 apk와 aab가 있다. 오늘은 apk에 대해 먼저 소개해보려 한다. apk라는 확장자를 많이 들어본 사람도 있을 것이다. 몇 년 전 다들 아직 저작권이란 개념이 많이 없었던 시기에 여기저기 소위 말하는 크랙 파일들이 많이 돌아다녔다. 유료 게임의 크랙 버전이나 무료 게임이라도 재화가 무제한으로 주어지는 등의 크랙 파일이 기억에 남는다. 물론, 그런 출처가 불분명한 파일들을 다운로드 받는다는 것 자체가 해킹의 표적이 될 수 있다는 사실도 다들 간과했을 것이다. 나는 께림칙해서 기피했지만 말이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 APK에 대해 알아보자. APK(Android Application Package)는 하나의 완성된 앱이라고 할 수 있다. APK의 생성과정을 살펴보면 이..
오늘은 레벨1에서 정답률이 높은 편에 있던 문제를 풀어보았다. 문제 이 문제는 문자열 길이만큼 반복문을 사용해 각 자리가 숫자인지 판별하고 숫자가 아니면 false를 숫자이면 true를 반환하면 되는 문제였다. 풀이 이 문제에서 반복문을 사용할 때 라벨을 사용해보았다. 주어진 s의 길이만큼 반복하며 숫자인지 확인하고 숫자가 아니라면 break를 사용해 반복문을 종료하기 위해 라벨을 loop라는 이름으로 지어줬다.
오늘은 오랜만에 문제를 풀어보게 되었는데 사실 이 문제를 풀면서 또 다시 공식 문서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문제 사실 굉장히 간단한 문제라고 생각했다.(공식 문서의 중요성은 조금 뒤에 말해보겠다) 일반적인 경우, 전달된 배열을 리스트로 바꾸고 최솟값을 제거한 뒤 다시 배열로 만들어 리턴하면 되고, 배열의 길이가 1인 경우 곧바로 -1만 들어있는 배열을 만들어 리턴하면 된다. 풀이 최종 정답을 받은 풀이는 위 사진의 코드이다. 하지만, 이전 코드는 약간 달랐다. 차이점도 있었고, 에러가 났던 부분도 설명해보겠다. class Solution { fun solution(arr: IntArray): IntArray { var answer = intArrayOf() if (arr.size == 1) answ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