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공부, 일상
주저리주저리

디지털 세계에서 아날로그의 중요성

가장 먼저 이 글은 의식의 흐름 그대로 적을 예정이기에 어떠한 질서도 없을 예정이다. 글의 제목은 다른 직종보다 디지털에 가까운 내가 요즘 느끼는 감정이다. 내가 원래 되고 싶었던 인간상이기도 하다. 디지털에 둘러싸여 있어도 그 속에서 아날로그의 무언가를 첨가할 수 있는 그런 사람. 그나마 유명한 사람이라고 하면 로스트아크 금강선 디렉터를 아주 좋은 예로 들 수 있겠다. 게임을 개발하는 사람이라지만 그 사이에서 사람들을 매료시킬 수 있는 언변, 글솜씨 등이 정말 존경스럽다. 보통 사람들은 아주 치밀하게 손익을 계산하며 지내고 있었지만 낭비없는 낭만은 없다고 말할 수 있는 사람. 어떤 것이 불편한지 공감할 수 있는 사람. 진짜 공감을 통해 사람들을 진정시킬 줄 아는 사람. 게임 내 특정 기능이 불편할 때 ..

주저리주저리

개발자의 글쓰기를 읽고 나서(1)

나는 이번 시리즈를 책의 순서대로 소개해보려 한다. 책의 모든 내용을 소개하진 않을 것이고 내 마음에 남았던 부분만을 적어볼 예정이다. 먼저, 이 책은 신기하게도 내가 가장 관심있어하던 부분을 위한 빌드업부터 시작한다. 정말 놀라웠던 문장은 내가 어느 유튜브에서 보고 깊게 공감했던 내용이었는데 아래와 같다. 코딩도 결국 글쓰기와 같다. 솔직히 말하면 어떤 다른 문장도 이 문장을 이길 수 없을 것이다. 모든 문장을 대변하는 한 줄이다. 이 다음은 글쓰기 기본에 대해 소개하고 있는데, 글의 독자가 누구인지, 그에 따라 문장이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 생각해야 한다. 특히 개조식 글에는 글머리 기호를 써야한다. 다들 아는 네모나 동그라미 등이 예시일 것이다. 같은 챕터에서 글쓰기와 코드를 작성할 때 어떤 원칙..

프로그래머스

두 수의 연산값 비교하기 코틀린(Kotlin)

정말 오랜만에 프로그래머스에 접속해보았다. 머리가 많이 굳었다는 게 실감되었다. 아날로그에 빠져 살아서 그랬나 싶기도 하다. 이제 문제풀러 가보자. 문제 일단, 두 수가 연산자를 거치면 문자열마냥 합쳐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두 Int형 파라미터를 문자열로 붙였다. 만들어진 문자열을 다시 숫자로 바꾸어 a*b*2의 결과와 비교했다. 풀이 실행 결과

BonusTrack02.dev
BonusTrack02.de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