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공부, 일상
Android

Android UrlQuerySanitizer getValue error

이번에는 안드로이드 UrlQuerySanitizer를 Url Query를 파싱하는데 사용하지 않을 때 생긴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문제 발생 배경 최근 새 프로젝트를 진행 중, API 응답이 json, xml, csv와 같은 형식이 아닌 URL의 GET method 사용 시 붙어있는 Query 형식으로 body 값을 주는 녀석이 있었다. 물론 반복문을 사용해서 일일히 파싱할 수도 있었지만, Retrofit에서 json, xml 형식을 곧장 객체로 변환해주는 기능을 맛 본 이상 그 전으로 돌아가긴 싫었다. 그래서 찾다 보니 우회할 방법으로써 찾은 녀석이 UrlQuerySanitizer였다. 알고 보니 API level 1부터 유구한 역사를 가진 친구였지만 처음 들어봤다.(^^) UrlQuerySanitiz..

Android

Android ADB로 크래시 로그 저장하기

이번에는 저번 글과 이어지는 부분이 있는데 시스템 파일로 저장된 크래시 로그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보려 한다. 필요해진 배경 며칠동안 앱을 실행시켜두고 안전성 테스트를 하던 도중이었다. 그런데 갑자기 주말이 지나서 보니 앱이 죽어있던 것이 아닌가.. 분명 어떤 이유에서인지 비정상 종료가 되었을 것인데 그 원인을 보고 싶어 검색해보게 되었는데, 안드로이드에서 크래시 로그를 파일로 저장하는 폴더가 있다고 해서 그 내부를 살펴보게 되었다. 목표물 안드로이드 시스템 내부에 tombstones 라는 폴더가 존재하는데 진짜 언어 그대로 죽은 이유를 적어둔 백트레이스를 가진 폴더이다. 내부를 확인해보니 "tombstone 0"과 같은 형식으로 tombstone에 숫자를 더한 형식의 이름을 가진 파일들이 있었고,..

Android

Android ADB로 스크린샷 저장하기

오늘은 ADB(Android Debug Bridge)로 스크린샷을 찍고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공유해보겠다. 필요해진 배경 이 기능이 필요했던 이유를 설명하자면 Android TV 같은 녀석들은 Android Studio가 설치된 컴퓨터와 USB 연결을 통해 실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렇게 되면 같은 Wifi 망에 접속해 원격 ADB로 실행해야 했다. 또한 Android TV 같은 경우 일반 스마트폰처럼 전원버튼과 음량버튼으로 스크린샷을 찍을 수 없기 때문에 이 글의 주제인 ADB로 스크린샷 저장하는 방법을 찾아보게 되었다. 방법 일단 ADB로 디바이스가 연결되어있다는 전제 하에 글을 작성해보도록 하겠다. adb shell screencap -p /sdcard/screenshot.png 위 명령어를 ..

BonusTrack02.dev
BonusTrack02.dev